둘째고민과 외동확정

(2022.05.28. 티스토리 블로그 기록물)

아이 출산 후, 출산 휴가 90일만 사용하고 복직을 한 저는 일찌감치 외동을 선언했습니다. 몇가지 분명한 이유가 있었는데,

첫째는, 부족한 시간. 제가 아이와 보낼 수 있는 시간이 평일엔 약 2시간, 그리고 주말 이틀 뿐이었습니다. 이 짧은 시간때문이었을까, 아이는 저를 유난히 좋아해주었고, 항상 저흰 애틋했습니다. 그 짧은 시간을, 다른 존재와 나눌 수는 없었습니다.

둘째는, 친정 엄마의 희생. 친정엄마께서 아이 양육을 도와주셔서 워킹맘으로 근무를 이어나갈 수 있었지만, 둘째까지 친정엄마에게 의지할 순 없었습니다. 친정 엄마의 희생이 너무 컸습니다.

셋째는, 경제적 한계. 둘째 탄생 후 예상되는 저의 육아휴직은 경력단절(부서 이동 혹은 그에 따른 퇴사 등)을 의미했습니다. 육아휴직을 하면 제가 일하던 직무는 새로운 인력이 하게 되었고, 전 복직 후 다른 삼교대 부서로 가게 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그러나 전 제 일이 좋았고, 다른 삼교대를 하는 부서에 적응할 자신이 없었습니다 (퇴사각). 그러나 생계형 맞벌이이기도 한 우리 부부에겐 제 수입이 꼭 필요했습니다. 저흰 아이에게 든든한 경제적 뒷배가 되어주고 싶었는데.. 두명은.. 아무리 생각해도 무리였습니다.

넷째는, 잠에 대한 트라우마. 특히 남편은, 아이의 출생 직후부터 약 1년여간의 시간을 트라우마로 여기고 있었습니다. 아이는 잠을 자기 싫어했고, 두돌이 넘을 때까지 수면의식만 한시간이 넘게 걸리곤 했었습니다. 남편은그때의 경험을 다시 할 자신이 도저히 없다고 했습니다.

더군다나 아이도 동생을 무슨이유에서였는지 원하지 않았습니다. 다른건 다 원했으면서 말입니다. 그래서 저희 부부는 대내외적으로 일찌감치 외동을 선언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게 외동에 대한 편견이 있었기 때문인건지 잊을만 하면 한번씩 “외동 장점”, “외동 단점”, “외동 편견”, 그리고 “둘째 고민” 을 검색하곤 했습니다.

가장 거슬리는 편견은 바로 “외동은 외롭다” 였습니다.

언젠가 그토록 의지했던 부모가 세상을 떠났을 때, 함께 부모를 그리워할 형제가 없이 혼자 남는 느낌은 무엇일까.. 우리 아이가 잘 감당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이 들 때마다 다음과 같은 반박하는 의견으로 불안한 마음을 덮곤 했습니다.

부모가 죽을 때쯤 자녀는 배우자와 자녀가 있을것이고, 5-60대 이후일 가능성이 높으니 걱정할 거 없다.

 

첫째가 외로울까봐 둘째를 낳는다는건 무슨 논리냐. 그렇게 태어난 둘째가 불쌍하지 않냐.

어차피 인생은 혼자 사는거다. 누구나 외롭다.

끄덕끄덕. 여전히 장례식장을 지나가다 전광판에 쓰여진 자녀 이름이 한명인 경우를 알아차리게 될 때마다 마음이 크게 흔들리곤 했지만, 우리 아이가 나중에 진정한 사랑과 우정을 나눌 수 있는 건강한 아이로 성장하도록 잘 양육하자는 마음을 굳게 다잡으며, 그렇게 저희 부부는 외동을 결심했습니다. 하지만 남편은, 궂이…정관 수술의 온갖 부작용 사례를 찾아보며 수술은 차마 못하겠답니다. 본인은 아무래도 생산직이 서비스직보다 좋다나 뭐라나..

(2022.05.28. 티스토리 블로그 기록물)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