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연구, 어디 출판해야 할까? 간호학 저널(Nursing Journal), Q1 상위 Top 12.

간호 연구가 종료되면, 그 연구를 간호학 저널에 발행 시켜야 진짜 그 연구가 끝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실컷 연구를 한 후 어떤 지식 체계에도 영향을 못 미치고, 어떤 현실적 영향력도 갖지 못한다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다.

그렇다면 어떤 저널에 투고할 것인가?

우선적으로는 그 저널의 목적성과 나의 연구 주제의 연관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과연 이 저널의 주요 독자들이 나의 연구에 관심을 가질까?’

어떤 저널이든 목표로 하는 방향성이 있다. 그리고 그 방향성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이 그 저널을 구독하게 된다. 따라서 저널의 목적 및 방향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대부분의 저널의 홈페이지에 아주 잘 드러나 있다. 그 저널의 “Aims and Scope”을 읽어보면 된다. 이는 보통 홈페이지의 상단에 링크가 바로 쓰여져 있거나  About, 혹은 Overview에 들어가면 나온다.

만약 Aim and Scope에서 제시하고 있는 저널의 그 방향성이 나의 연구와 통한다 싶으면, 실제로 그 저널에서 나의 연구 주제와 비슷한 연구들이 발행되었는지 구글 스칼라 등을 통해서 한번 더 검색해보면 더 좋다.

 

 

그런데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아무래도 좀 더 권위 있는 저널에 투고하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저널계에서 권위가 있다함은, 쉽게 말해 그 저널에서 발행한 논문들이 다른 연구에서 많이 인용이 된다는 뜻이다. 그만큼 그 저널이 쓸만한 연구들을 많이 발행한다는 뜻이겠다.

이렇게 연구를 인용시키는 능력을 Impact Factor라고 하며, 이는 매년 최근 2년 동안의 성과에 따라 갱신 되어 발표가 된다(지난 2년 동안 그 저널이 발표한 논문이 이번 해에 인용된 수의 평균). 그리고 이것은 그 순위에 따라 Q1(상위 25%) 부터 Q4(하위 25%) 까지 4분위로 구분되어 명명되곤 한다.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이왕이면 저널의 scope도 맞고, Q1 journal이면 더 좋고!” 가 되는 것이다.

오늘은 간호학 저널 중 Q1에 해당하는 총 36개의 저널 중 상위 Top 12인 저널들을 정리해보았다.

이는 Clarivate의 Journal citation report를 참고하였다. 이는 가장 최근인 2023년에 발표된  결과이며, 2020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각 저널에서 발표한 논문이 2022년에 인용된 수의 평균값이다.

 

Impact Factor

 

Top 1.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Impact factor(2022): 8.1

총 인용 수: 16,189

Aim and Scope: “이 저널은 특히 복잡한 건강 관리 중재 및 건강 정책을 평가하고 이해하려는 연구를 환영함.  또한, 이 저널은 분석 기법, 측정, 연구 방법의 도입, 설명 등 방법론적 논문을 게시함으로써 연구의 품질을 높이고자 함.”

Top 2.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Impact factor(2022): 5.6

총 인용 수: 4,154

Aim and Scope: “호주 정신건강 간호사 협회의 공식 저널임. 현재의 정신건강 실천과 연구 동향을 조사함. 정신 건강 간호 실천과 연구, 교육 및 훈련 방향, 전문 문제, 관리 방법, 정책 개발, 윤리적 문제, 이론적 탐구 및 임상 문제의 이해를 발전시키고자 함.”

 

Top 3.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Impact factor(2022): 5.5

총 인용 수: 8,500

Aim and Scope: “간호 관리 및 리더십 분야에 대한 저널로 간호 관리 및 리더십 분야에서의 실무자 및 연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간호 관리 및 리더십 분야의 현재 이슈를 탐구하고 논의하고, 현재 실무에 대한 근거를 평가하고, 간호 관리 및 리더십 분야에서 최적의 임상 적용 방법을 개발하고, 정책 발전의 영향을 검토하고, 정책, 품질 및 안전과 관련된 문제에 대처하고자 함.”

Top 4.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Impact Factor: 5.3

총 인용 수: 2,882

Aim and Scope: “중환자 간호 실무에 필수적인 지식, 기술, 태도 및 창의적 사고를 개발하고 향상시키고자 함.”

Top 5. NURSING OUTLOOK

Impact Factor: 4.3

총 인용 수: 3,028

Aim and Scope: “간호 리더십에게 신속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함. 간호 실무, 교육 및 연구의 현재 이슈와 트렌드를 조사하며, 전문직이 직면한 과제에 대한 진보적인 해결책을 제안함. 미국 간호 아카데미와 간호 과학 진흥 위원회의 공식 저널임.”

Top 6.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Impact Factor: 4.3

총 인용 수: 2,315

Aim and Scope: “근거 기반 간호 실무에 활용할 근거의 주요 출처로서의 역할을 하고자 함. 지식의 통합, 대규모 연구, 현재의 근거 기반 실무의 문제 및 발전에 대한 논평 등을 환영.”

Top 7. JOURNAL OF CLINICAL NURSING

Impact Factor: 4.2

총 인용 수: 18,779

Aim and Scope: “임상 간호 실무의 실질적이고 높은 수준의 학문적 발전을 촉진하고자 함.  • 임상 연구, 평가, 근거 기반 실천 및 과학적 탐구의 발전; • 건강 및 건강 관리에 대한 환자와 가족의 경험; 질병 및 회복; • 환자 안전 강화 및 환자에게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간호 연구; • 간호 필요성, 개입, 사회적 상호 작용 및 서비스 제공 모델의 본질; • 임상 간호 리더십 등.”

Top 8. Nursing Ethics

Impact Factor: 4.2

총 인용 수: 4,594

Aim and Scope: “간호 윤리에 대한 실용적 접근. 관리/전문직 간 관계, 환자 권리/공공 복지에 대해 주로 다루며, 특히 소생, 유전, 건강 정책, 건강 관리 사고 방식, 비교 및 문화간 연구, 간호 교육에서의 윤리, 윤리 강령 등을 주로 다룸”

 Top 9.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Impact Factor: 4.1

총 인용 수: 2,945

Aim and Scope: “국제 간호 협의회(ICN)의 공식 저널임. 주로 간호사에게 관련 있는 간호 및 건강 정책 문제에 중점을 둠. 간호사가 자신의 직업의 정책적 중요성을 기술하고 경험 및 연구를 문서화하는 원고를 적극 권장함.”

Top 10. NURSE EDUCATION TODAY

Impact Factor: 3.9

총 인용 수: 13,538

Aim and Scope: “간호 교육의 지도자들에게 간호 및 관련 건강 교육의 연구; 정책, 이론 또는 철학 등 전략적으로 중요한 문제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자극하고자 함. 엄격한 방법론을 사용한 연구와 교육 및 시스템의 이론적 기초를 강조함.이전 연구 및 현재 개선 사항에 대해 건설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을 환영함.”

Top 11. Women and Birth

Impact Factor: 3.8

총 인용 수: 3,901

Aim and Scope: “호주 조산사 협회의 공식 저널. 임신, 출산 및 출산 후 처음 6주에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해 다룸. 다국적이며 전 세계에서 온 논문을 환영함. 조산사 실무, 연구, 이론, 교육, 관리 및 리더십, 산모 서비스 제공, 모성 및 신생아 건강, 존중받는 산모 관리, 모유 수유, 주요 건강 관리 및 심리학, 사회학, 인권 및 건강 경제와 관련된 측면에 중점을 둔 논문을 다룸.”

Top 12. JOURNAL OF ADVANCED NURSING

Impact Factor: 3.8

총 인용수: 23,672

Aim and Scope: “견고한 과학적, 근거적, 이론적 또는 철학적 기반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질문을 던지며 학문적인 접근을 취하는 논문을 환영함. 현대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간호실무, 교육, 관리 또는 정책 분야에서 지식을 발전시킬 수 있는 높은 품질의 연구 및 학문을 보급함으로써 증거 기반 간호, 산부인과 및 헬스케어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간호학에서의 Top 12라고 하더라도, 각 간호 연구자 별로 주요 관심 분야가 세밀하게 다르다 보니 이것이 Top12으로 여겨지지 않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Aim and Scope을 잘 읽어보면 scope이 생각보다 광범위한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혹여나 자신의 연구 영역과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투고를 고려해봐도 좋을 것이다.

 

 

 

6개월 동안 6번의 리비전

얼마 전 새벽 출근길에 지도교수님으로부터 한통의 메일이 전달 되었다.

전달해주신 메일은 한참을 기다렸던 저널로부터의 메일이었다.

‘우훗.. 드디어 온건가!!’

가벼운 마음으로 메일 제목을 클릭했는데, 교수님이 써 보내신 한마디.

“리뷰어 3, 정말 너무하네요.”

 

리뷰어(Reviewer) 3. 낯선 그 이름.

지난 6개월 동안의 6번의 리뷰 라운드 중에 리뷰어 3는 없었다. 그런데 그가 갑자기 너무하게 등장했단다.  뭐가 얼마나 너무하길래.. ? 고쳐야 할 것들을 많이 제시했나?

 

걱정되는 마음에 전달해주신 메일을 찬찬히 읽어봤는데,

리뷰어 3는 정말 너무했다.

편집자도 정말 너무 했다.

결과는 리젝(Reject)이었다.

 

 

솔직히 이번엔 진짜 될 줄 알았다.

실은 한 4번째 정도 라운드부터는 거의 다 됐다는 느낌을 받았었다. 그리고 이번 투고 직전에는 “이제는 정말 되겠어요.”라는 교신저자 지도교수님으로부터의 칭찬도 받았었다.

그런데 무시라..? 갑자기 나타나서 리젝이라고라…?

믿고 싶지 않지만 실화이다.

정말 믿을 수 없는 결과였다.

리뷰어 1은 초반에 이미, 하루 속히 이번에 개발한 이론을 임상에서 적용한 결과를 보여줬으면 좋겠다는 코멘트를 주고 리뷰 현장을 떠났고, 리뷰어 2는 내가 개발한 이론에 진정한 호기심을 보이며 아주 섬세한 리뷰를 해주었다. 그는 처음부터 이 이론을 개발하게 된 배경과 의도를 매우 높게 평가해주었다. 물론 그가 납득하지 못한다고 해명하거나 수정할 것을 요구한 부분도 있었으나, 결국 나의 디펜스(defence)에 결국 설득되어 주었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이 이론을 독자에게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문맥의 흐름 방향까지 제언해주며 감동적인 리뷰를 해주었었다. 무려 6개월 동안 6번의 리비전 과정을 거치면서 말이다. 그래서 이제는 정말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완성도 있는 이론이 되었고, Accept 될 것 같았다.

그리고 결국 리뷰어 2로부터는 드디어 완성되었다는 칭찬을 받게 되었으나,갑자기 등장한 리뷰어3가 이 이론을 그냥 갈기갈기 찢어버렸다.. 그리고 편집자는 그것을 수용했고, 그렇게 종료됐다.

 

리뷰어 3는 뭐, 나름 자신의 시점에서 보았을 때 할 말을 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런데 저렇게 리젝을 줄 논문이었다면, 애초에 리비전을 6번이나 시키면 안되는 것 아닌가?

 

그래도 너무 좋은 리뷰어를 만나서 이론의 완성도가 높아졌잖아!? 그러니 곧 어디든 게재되어 빛을 볼 날이 있겠지… 라고 스스로를 다독였지만, 저 메일을 받고 다시 투고하기까지 3주 이상의 회복의 시간이 필요했다. 그리고 오늘 드디어 재투고를 완료했다.

투고 직전 새로 투고할 저널의 편집위원회 목록을 찬찬히 살펴보니, 내가 사랑하는 간호 이론가이자 본 이론 개발의 계기가 되어준 Jean Watson이 포함되어 있다.

갑자기 더 떨리는데.. 여기서 리뷰를 못 받거나, 리젝되면.. 마음이 더 많이 아플 수 있겠다. 한편으로는 제대로 시험대에 올려놓은 것 같기도 하고.. 아 떨린다.

 

그나저나, 비합리적으로 권력을 남용하는 저널은 망할지어다.

내 다시 거기 투고하나 봐라!!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