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병원에서 뭔가 해야하고, 그게 자기를 불편하게 한다는 걸 안다면 싫은게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씩씩하게 잘 하는 아이가 있는가하면, 유난히 공포에 사로잡히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이전에는 그렇게 울며불며 몸으로 버티는 아이들을 마주하면, 처음에는 어르고 달래보지만 나중에는 쫒기는 시간에 조바심이 나기도 하고 화가 나기도 했었습니다.
우리 딸래미 치과 치료 전까지는 말이죠.
제 딸은.. 병원 포비아로 치면 제가 그동안 마주한 모든 아이들 중 최고였습니다.
아마도 충치 치료의 첫 경험이 아이에게 배신감을 줬던게 분명합니다. 제가 고집을 부려 갔던 (수면이나 웃음가스를 하고싶지 않아) 일반 치과에서, 아이에 대해 섬세하게 접근하지 못하고 가장 심각하게 썩은 이부터 건드리는 바람에 아이가 그 소름끼치는 통증을 무방비 상태로 경험했고 완전히 패닉이 된 적이 있었거든요.
평소 굉장히 안정적인 정서를 자랑하던 아이가 그 치과경험 이후에는 미용실에서 머리 감는것도 두려워하며 우는 아이가 되었습니다. 다른 이유로 병원에 검사하러 가는 짧은 시간 동안, 긴장감을 몸이 이기지 못하고 배탈이 나버리기도 했구요. 제 딸의 돌변하는 모습을 보고 나니.. 그리고 그 정도가 제가 만나본 모든 아이들을 초월하고보니, 이제는 병원에서 대하기 까다롭다 생각되는 아이가 없어졌습니다.
다 그저 사랑스럽고 안쓰럽습니다.
오늘 만난 10살 여아도 그랬습니다. OO이는 오늘 소변 검사를 위해 소변 줄을 넣어야 하는 처치를 극도로 두려워하며 저항했습니다.
평소에 굉장히 안정적이고 말을 잘 들어주던 아이라서 이 검사도 씩씩하게 할 것만 같았는데, 알고보니 과거에 검사를 했을 때 마음의 준비도 안됐는데 너무 갑작스럽게 소변줄이 몸으로 들어와서 놀랐던 경험이 있었다고 하더라구요.
에구.. 안쓰러워라. 그래서 저는 처음에는 아이가 엄마에게 그 힘든 마음을 풀어놓을 수 있는 시간을 좀 주었지만 좀처럼 진정이 안됐습니다.
그러나 그런 시간이 길어질수록 몸과 마음이 더 지치는 것을 알기에 잠시 시간이 지난 후 “이제, 우리~엄마는 잠시 밖에 계시도록 하고 우리끼리 한번 해보자. 선생님 딸도 보니까 엄마가 같이 있을 때 더 마음이 약해져서 못했지만 오히려 혼자서 간호사 선생님이랑 더 잘하더라구. OO이도 분명히 혼자서 잘 할수 있을것 같아.” 하고 말해준 뒤 아이 어머니를 잠시 커튼 뒤에 나가서 기다리시도록 했습니다.
아이는 엄마가 없지만 커튼 밖에 있는 것을 확인 후 조금 더 진정이 되어서 침대에 올라 자리를 잡았고, 저와 다른 간호사 둘이 함께 아이에게 검사의 단계 단계를 설명하며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지금 카테터를 넣을 거고 같이 “아~~” 라고 소리를 내면 훨씬 안아프게 할 수 있어. 준비 됐어? 아~~~~”OO이는 그 이후 검사를 아주 잘 마쳤고, 우리는 아이를 아주 크게 칭찬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 아이는 씩씩하게 침대에서 잘 내려와서 검사실을 씩씩하게 나갔습니다.
돌봄이론은
간호의 본질을 생각하게 하고,
간호사로의 소명을 인식하게 하며,
간호사도 간호를 통해 성장한다고 믿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왓슨의 돌봄 이론은 하루의 간호를 시작하기에 앞서 성찰할만한 내용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그리고 전 그것을 인스타그램에 조금씩 공유를 하며 저 또한 그 내용을 성찰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침에는 오늘 하루 대상자와 진정성 있는 눈맞춤을 하겠다 다짐했습니다. 그리고 아침의 이러한 다짐은 오늘 저의 하루를 조금 더 나은 하루로 만들어주었습니다.
오늘 마주친 수많은 눈들 중 한 어머니의 눈이 제게 많이 남습니다. 초등학생 2학년이 된 여자아이의 어머니의 눈은, 처음엔 다소 피곤해보이셨습니다.
아이는 다리에 힘이 부족하여 휠체어보행을 하고 있었고, 아이의 어머니는 여전히 하루 종일 아이의 도뇨를 직접 해주고 계셨습니다. 아이가 학교에 가 있을 때라도 도뇨시간이 되면 잠시 아이를 집으로 데리고 와서 도뇨를 한 후 다시 학교에 데려다 주시는 상황이었습니다.
아.. 오롯이 아이만 지켜내는 삶을 살고 계시는구나.
아이 어머니는 저의 “OO이도 혼자 도뇨할 때가 되었어요.”라는 질문에 당황하시며 왜 이 휠체어를 보지 못하냐는 듯한 눈빛으로 말씀하셨습니다. “우리 OO는 다리에 힘이 없어요.”
“우리 이분척추증이 있는 아이들중에는 OO이같이 휠체어보행을 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어요. 그리고 스스로 도뇨도 매우 잘하구요. OO이도 팔의 힘으로 변기에 앉는 연습먼저 시작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아이 어머니는 처음엔 믿기 어렵다는 눈빛을 보이셨지만 저의 이어지는 이야기들을 계속 들으시더니 조금씩 귀를 더 기울여주셨습니다.
“정말 잘 할 수 있어요. 코로나 이전같으면 캠프를 같이 가서 언니들 보면서 배워봐도 좋을텐데..
OO야. 이제 OO도 스스로 도뇨할 때가 되었어. 실은 이미 늦었어. 이미 충분히 언니가 되었거든. 지금부터라도 우리 조금씩 연습해서 고학년이 되거든 혼자 해보는걸 목표로 해보자. 우선 화장실에서 혼자 앉는것부터 연습 해보는거야!!.”
다행이 아이도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아이 어머니께서는 이전에는 인터넷 자조모임 커뮤니티에 들어가면 정신건강에 너무 안좋은것 같아서 일부러 외면했었다고 하셨습니다.
아이 어머니께서 충분히 그러실 수 있으나, 자조모임을 통해서 아이가 얻는 부분이 분명히 클 수 있음을.. 그곳을 통해 OO이가 자신과 비슷한 질병을 가진 친구들이 세상에 분명히 존재하고 아주 행복하게 잘 살수 있음을 알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말씀드리자, 아이 어머니께서는 공감이 되며 기대된다는 듯한 눈빛을 하시며 고개를 끄덕이셨습니다. 그리고 그 카페를 직접 찾아 여기가 맞나 저에게 확인을 하셨습니다.
아이 어머니는 여러가지 상담을 마친후 나가시기 전에 약간 붉어진 눈빛으로 말씀하셨습니다. “제가 아이를 못떼어놓았던것 같아요.”
“네 맞아요. 아이는 충분히 잘 할 수 있어요. 믿어주셔도 돼요.”
아이 어머니는 여러가지 TO DO LISTS를 가지고 집으로 향하게 되셨지만, 전 그분의 뒷모습을 보며 조금은 힘을 얻고 가시는구나 하고 느끼며 마음 한켠이 채워짐을 느꼈습니다.
지난 6개월 동안의 6번의 리뷰 라운드 중에 리뷰어 3는 없었다. 그런데 그가 갑자기 너무하게 등장했단다. 뭐가 얼마나 너무하길래.. ? 고쳐야 할 것들을 많이 제시했나?
걱정되는 마음에 전달해주신 메일을 찬찬히 읽어봤는데,
리뷰어 3는 정말 너무했다.
편집자도 정말 너무 했다.
결과는 리젝(Reject)이었다.
솔직히 이번엔 진짜 될 줄 알았다.
실은 한 4번째 정도 라운드부터는 거의 다 됐다는 느낌을 받았었다. 그리고 이번 투고 직전에는 “이제는 정말 되겠어요.”라는 교신저자 지도교수님으로부터의 칭찬도 받았었다.
그런데 무시라..? 갑자기 나타나서 리젝이라고라…?
믿고 싶지 않지만 실화이다.
정말 믿을 수 없는 결과였다.
리뷰어 1은 초반에 이미, 하루 속히 이번에 개발한 이론을 임상에서 적용한 결과를 보여줬으면 좋겠다는 코멘트를 주고 리뷰 현장을 떠났고, 리뷰어 2는 내가 개발한 이론에 진정한 호기심을 보이며 아주 섬세한 리뷰를 해주었다. 그는 처음부터 이 이론을 개발하게 된 배경과 의도를 매우 높게 평가해주었다. 물론 그가 납득하지 못한다고 해명하거나 수정할 것을 요구한 부분도 있었으나, 결국 나의 디펜스(defence)에 결국 설득되어 주었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이 이론을 독자에게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문맥의 흐름 방향까지 제언해주며 감동적인 리뷰를 해주었었다. 무려 6개월 동안 6번의 리비전 과정을 거치면서 말이다. 그래서 이제는 정말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완성도 있는 이론이 되었고, Accept 될 것 같았다.
그리고 결국 리뷰어 2로부터는 드디어 완성되었다는 칭찬을 받게 되었으나,갑자기 등장한 리뷰어3가 이 이론을 그냥 갈기갈기 찢어버렸다.. 그리고 편집자는 그것을 수용했고, 그렇게 종료됐다.
리뷰어 3는 뭐, 나름 자신의 시점에서 보았을 때 할 말을 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런데 저렇게 리젝을 줄 논문이었다면, 애초에 리비전을 6번이나 시키면 안되는 것 아닌가?
그래도 너무 좋은 리뷰어를 만나서 이론의 완성도가 높아졌잖아!? 그러니 곧 어디든 게재되어 빛을 볼 날이 있겠지… 라고 스스로를 다독였지만, 저 메일을 받고 다시 투고하기까지 3주 이상의 회복의 시간이 필요했다. 그리고 오늘 드디어 재투고를 완료했다.
투고 직전 새로 투고할 저널의 편집위원회 목록을 찬찬히 살펴보니, 내가 사랑하는 간호 이론가이자 본 이론 개발의 계기가 되어준 Jean Watson이 포함되어 있다.
갑자기 더 떨리는데.. 여기서 리뷰를 못 받거나, 리젝되면.. 마음이 더 많이 아플 수 있겠다. 한편으로는 제대로 시험대에 올려놓은 것 같기도 하고.. 아 떨린다.
학위 논문 연구 주제를 정하고, 연구 방법을 질적연구로 하기로 결정한 후,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접근을 해야 하나 고민하다 유튜브에서 그냥 한번 현상학을 검색해보았다. 그런데 AIR KLASS라는 교육 플랫폼에 ‘간호학과 응용현상학’ 이라는 주제로 패키지 강의가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내가 그래도 간호학과 박사과정생인데, ‘간호학과 응용현상학’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강의가 있다는 것을 몰랐다는 것이 다시 당황스럽긴 하였으나, 연구 방법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수강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남인 교수님의 강의를 듣게 되었다.
놀랍게도 이남인 교수님은 간호학이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와 방향을 아주 잘 알고 계셨다. 응용현상학이 왜 간호학에 필요한지, 간호학에서 어떤 응용현상학적 탐색이 가능한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논리적으로, 그것도 아주 명쾌하게 설명해주셨다.
난 이남인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여러 문헌을 찾아보며, 현상학을 내 학업의 평생에 가져가야 할 연구 방법론으로 결정했다. 내가 지금까지 계속 갈증을 느껴오던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은 것 같았다.
나는 내가 사랑하는 간호학이 그 가치만큼 이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고, 진정한 간호를 해내기 어려운 이 현실 구조에 깊은 갈증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현상학적 탐색과 실천을 통해 간호의 본질을 회복하고 그것의 가치를 성과로서 증명할 수 있다면, 간호학을 더 엄밀한 학문으로 정립하고, 사회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게 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는 어쩌면 이남인 교수님의 후설(Husserl) 사랑과 비슷한 것일 수도 있겠다. 이남인 교수님의 강의나 책을 들어다보면, 교수님의 후설에 대한 애정을 잔뜩 느낄 수가 있고, 후설의 철학적 사유와 공을 어떻게 하면 제대로 전달할까 치열하게 고민하신 것이 느껴진다. 나에겐 간호학이 그런 존재이다.
이남인 교수님의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은 굉장히 뛰어난 책이다. 영문으로 번역되지 않아 아쉽다. 번역이 된다면 정말 많이 인용될텐데.. 이 외에도 교수님의 글 중 응용현상학과 관련한 영문 참고 문헌이 별로 없어 정말 많이 아쉽다.
Lee, N. I. (2011).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Grenzgänge: Studien zur interdisziplinären und interkulturellen Phänomenologie, 25. 이 논문 외 참고할 수 있는 영문 문헌을 아시는 분은 댓글을 부탁 드린다.
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이남인 교수님께 연락을 드려보고 싶었으나, 메일에 답장이 없으셔서 사무실로 연락해보니 퇴직을 앞두고 휴직 중이셨다.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꼭 한 번 찾아 뵙고 싶다.
2006-present Patterns in Applied Phenomenology (Book Series)
2009-present Contributions to Phenomenology (Book Series)
2009-2011 Philosophy (in Korean, Journal, editor in chief)
2012-present Libri Nigri (Book Series)
2012-present Libri Virides (Book Series)
Education
1977-1981 BA, Department of Philoso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1-1983 MA, Department of Philoso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3-1986 Ph. D. Course, Department of Philoso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6-1987 Ph. D. Course, Department of Philosophy, University of Cologne
1987-1991 Ph. D., Department of Philosophy, University of Wuppertal
Bibliographie (읽은 것은 bold체로 표시함. The read literature is indicated in bold.)
Books
Edmund Husserls Phänomenologie der Instinkte, Dordrecht/Boston/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3. (Phaenomenologica vol. 128)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in Korea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Husserl’s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in Korean), Seoul: Poolbit Media, 2006.
Phenomenology of Perception. Husserl and Merleau-Ponty (in Korean), Pajoo: Hangilsa, 2013.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Pajoo: Hangilsa, 2014.
Beyond Consilience (in Korea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5.
The Phenomenology of Aesthetic Instinct (in Korean), Pajoo: Seokwangsa, 2018.
The Concrete and the Plural: Studies in Husserl’s Phenomenology and Its Horizon, Würzburg: Königshausen & Neumann, 2021 (forthcoming).
Phenomenology of Intersubjectivity: Husserl, Levinas, and East-West Dialogue (forthcoming).
Journal Articles and Book Chapter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d Postmodernism” (in Korean), in: Philosophical Studies 31 (1992).
“Derrida’s Criticism of Husserl” (in Korean), in: Philosophical Research 20 (1992).
“Instinctive Intentionality and the Constitution of Intersubjective World” (in Korean), in: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7 (1993).
“The Concept of Reality in Husserl’s Phenomenology” (in Korean), in: Haechang Chung and others, The Concept of Reality in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Seongna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ess, 1994.
“Heidegger’s Existential Hermeneutics” (in Korean), in: Korean Society for Hermeneutics (Ed.), What Is Hermeneutics, Seoul: Jeepyeongmoonwhasa, 1995.
“Heidegger’s Criticism of Husserl and the Hermeneutic Phenomenology” (in Korean), in: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9 (1996).
“Husserl’s Genetic Phenomenology and Heidegger’s Hermeneutic Phenomenology” (in Korean), in: Philosophy 53 (1997).
“Edmund Husserl’s Phenomenology of Mood,” in: D. Zahavi/N. Depraz (Eds.), Alterity and Facticity, Dordrecht/Boston/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8.
“Das An-sich Sein und die verschiedenen Gesichter der Welt,” in: Kah Kyung Cho/Young-Ho Lee (Eds.), Phänomenologie der Natur. Phänomenologische Forschungen, Sonderband, Freiburg/München: Verlag Karl Alber, 1999.
“Practical Intentionality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s a Practical Philosophy,” in: Husserl Studies 17 (2000).
“Active and Passive Genesis: Genetic Phenomenology and Transcendental Subjectivity,” in: S. G. Crowell/L. Embree/S. J. Julian (Eds.), The Reach of Reflection: Issues for Phenomenology’s Second Century, Electronic Press, 2001.
“Static-Phenomenological and Genetic-Phenomenological Concept of Primordiality in Husserl’s Fifth Cartesian Meditation,” in: Husserl Studies 18 (2002).
“Phenomenology of Sensible Life in Husserl and Levinas,” in: Philosophical Thought 15 (2002).
“Phenomenology of Intersubjectivity in Husserl and Levinas,” in: Husserl Studies in Japan 1 (2003).
“Genetic Phenomenology and Problems of Intersubjectivity” (in Korean), in: Philosophical Thought 16 (2003).
“The Structure of the Critical Rationality” (in Korean), in: Philosophical Thought 19 (2004).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Korean), in: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24 (2005).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Concept of Economic Rationality” (in Korean), in: Journal of Humanities 53 (2005).
“Phenomenology of Feeling in Husserl and Levinas,” in: The New Yearbook for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Philosophy 5 (2005).
“Problems of Intersubjectivity in Husserl and Buber,” in: Husserl Studies 22 (2006).
“Experience and Evidence,” in: Husserl Studies 23 (2007).
“Husserl’s View of Metaphysics – The Role of a Genuine Metaphysics in Phenomenological Philosophy,” in: Cheung Chan-Fai and Yu Chung-Chi (Eds.), Phenomenology 2005, Selected Essays from Asia, Part 2, Bucharest: Zeta Books, 2007.
“Phenomenological Sociology” (in Korean), in: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33 (2007).
“Husserl’s Phenomenology and Schutz’s Phenomenological Sociology” (in Korean), in: Schutzian Research 1 (2009).
“How Ca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Meet?” (in Korean), Philosophical Studies 87 (2009).
“Phenomenological Reflections on the Possibility of First Philosophy,” in: Husserl Studies 26 (2010).
“Phenomenological Education” (in Korean), in: Philosophy of Education 47 (2010).
“Phenomenology of Language beyond the Deconstructive Philosophy of Language,” in: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42/4 (2010).
“The Concept of Essence in Carl Menger’s Economics,” in: Horizons 2 (2011).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the Future of Phenomenology” (in Korean), in: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54 (2012).
“Toward the Phenomenology of Aesthetic Instinct Developed through a Dialogue with F. Schiller (1759-1805),” in: Journal of Humanities 68 (2012).
“Phenomenological Clarific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in: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55 (2012).
“Eco-Ethica and the Idea of the University Revisited,” in: Eco-ethica 2 (2012).
“The Significance and the Future-Task of E. Husserl’s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in Korean), in: Journal of Humanities 69 (2013).
“Vers une phénomenologie de la tendance morale,” in: Diogène 248 (2014).
“Clarification of Some Aspect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Philosophical Studies 109 (2015).
“Ethik der Erneuerung bei Husserl und Konfuzius,” in: Cathrin Nielsen, Karel Novotný, Thomas Nenon (Eds.), Kontexte des Leiblichen. Festschrift für Hans Rainer Sepp, Nordhausen: Traugott Bautz, 2016.
“Instinctive Intentionality and the Nature of Valuing” (in Korean), in: Philosophical Thought 63 (2017).
“Chapter 13: Nam-In Lee,” in: Felipe Leon/Joona Taipale (Eds.), Phenomenology. Five Questions, Copenhagen: Automatic Press, 2018.
“Phänomenologische Interpretation der Phronesis bei Aristoteles,” in: Eco-ethica 7 (2018).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for Reviewer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es” (in Korean), in: Qualitative Research 20 (2019).
“Husserl’s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nd Heidegger’s Dasein,” in: The Ritsumeikan Bungaku 665 (2020).
“The Pluralistic Concept of the Lifeworld and the Various Fields of the Phenomenology of the Lifeworld in Husserl,” in: Husserl Studies 36 (2020).
“Feeling as the Origin of Value in Scheler and Mencius,” in: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53, 2020.
“Instinct,” in: B. Hopkins and others (Eds.), The Routledge Handbook of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Philosophy, London: Taylor & Francis Group,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