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드린다는 것.

어쩌다 보니 3주 연속 교회를 못갔습니다.

첫번째 주에는 명절이라서, 두번째 주에는 몸살이 나서, 세번째 주에는 강의 일정으로 여차저차 하는 바람에..

첫번째 주와 두번쨰 주는 제 스스로 그나마 인정할만 한데, 세번째 주는 좀 양심에 거리낌이 생깁니다.

마음만 먹었다면 충분히 예배드릴 수 있었거든요.

그런데 전 부지런하게 예배에 참여하기 보다는, 느긋하게 놀기를 선택했습니다.


일요일을 주일이라 부르며 교회를 간다는 것, 그건 단순한 규칙적인 의식을 치루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일주일 중 단 하루, 그리고 그 하루 중 아주 잠시만의 시간을 떼어 나를 존재하게 하신 하나님을 기억하고 그분과의 교제에 집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모님의 존재가 너무 당연하면서 안부에 소홀하게 되어 당신들을 외롭게 하기 쉽게 되듯이, 예배의 약속을 지키지 않는것, 그렇게 하나님의 은혜를 잊어버리는 것은 너무나도 쉽습니다.

중고등학생 시절, 예배를 드릴때마다 의아했던 점이 있는데, 대표기도를 하시는 어른들께서 거의 매 주일마다 “지난 일주일간 하나님을 기억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살아가는 인생을 부끄럽게 고백하며 회개합니다” 라는 기도를 하신다는 점이었습니다.

순수하게 하나님과의 사랑에 푹 빠져있던 저는, 도대체 그게 이해가 되지 않았었습니다. 왜 매주마다 저렇게 회개만 하실까, 평소에 잘 하시지.. 라고 의아해하곤 했었습니다.

그런데 어른이 되어 현실세계에서 살아보니, 그나마 매 주일 그렇게 교회에서 회개할 수 있다는 것 그 자체가 상당히 칭찬받을 일이겠다 싶어집니다.

그나마 다행히도 오늘 아침 저의 양심이 저를 깨워 출근길에 말씀을 들었습니다.

“너는 피투성이라도 살아있으라 (에스겔 16:6).”

어느덧 세상에 젖어 그리스도의 향기는 사라진채 피투성이와 같은 모습으로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할지라도, 살아 있으라.. 살아있으라.. 내가 너를 기억하고 너를 보듬어 주겠노라..

하나님의 애닳는 마음을 조금이나마 가늠해보며,
너무 쉽게 저의 우선순위에서 벗어나 버리시는 그분을 다시 우선순위로 돌이켜보며,
다시금 고백하고 마음을 다잡으며 기도해봅니다.

하나님 아버지.
주님을 기억하지 않고 저의 의지와 욕망대로만 살아갔던 저의 시간을 용서하시고, 저의 이성과 감성과 영성의 온전한 주인이 되어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2022.9.26. 티스토리 블로그 기록물)

나와 피아노와 교회

피아노는 아마도 국민학교 1학년 즈음부터 배우기 시작했던 것 같다. 가동 상가 2층의 엄선생 피아노. 동그라미 5개 채워가며 바이엘을 떼고, 체르니 100, 30, 40을 땔 때쯤 교회에 다니기 시작했다.

나의 첫 교회는 교인이 100명 남짓의 작은 교회였다. 목사님의 딸 중 한명은 피아노 반주를 적당하게 하고 있었고 한명은 성가대 지휘를 했다. 교회에 나간지 얼마 안되어 난 목사님 딸을 대신하여 성가대 반주자로 세워지기 위해 속성으로 세례를 받게 되었다. 수줍음이 많았던 중학생 시절, 반주를 적당히만 해도 ‘오오~~’ 하면서 온갖 환호을 보내던 그 오빠들 덕분에 성가대 반주를 재밌게, 꾸준히 했던것 같다.

나의 청소년기를 꽉 채운 교회생활, 객관적으로 돌아보면 나의 신앙이 곧게 세워지기엔 몇십프로 쯤 상당히 부족한 세속적(?)인 교회생활이었다. 차마 들추기 어려운 몇가지 기억만 세어보아도, 하나님이 얼마나 크신 분인지를 인정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아무리 험한 곳에서 날푼이처럼 있어도 하나님 그늘 안에만 있다면 그분은 어떻게든 우리네 인생에 아름답게 간섭 하신다는 것을.

나는 세속적인 교회생활을 하면서도 피아노 반주를 생활같이 하였고, 그 기간동안 신앙이라는 것을 담게 되었던것 같다. 20대 시절 치열하게 나의 신앙의 방향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었고, 절대로 떠날 수 없을것만 같던 그 교회를 가정의 이사라는 이벤트로 겨우 떠나게 되었으며, 결국 나의 신앙의 보금자리와도 같은 교회를 찾게 되었다.

당시 남자친구였던 남편을 따라 가게 된 교회. 그곳에서 처음 뵙게된 인생의 멘토, 오대식 목사님. 그분을 통한 하나님의 말씀은 혼돈 상태였던 나의 신앙의 기준과 질서가 되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인격적으로 존경하는 목사님을 통해 들을 수 있다는 것은 그야말로 큰 축복이다. 그분의 말씀만 들으며 신앙생활을 할 수 있다면, 그건 그냥 세속어로 꿀빠는 일인것만 같다.

그런데 운명과도 같이 파주에 높은뜻 교회를 개척하셨다. 나의 목사님은 덕소교회를 지키시지만. 집에서 10분거리에 세워지는 높은뜻 정신. 우린 물흐르듯 자연스럽게 파주교회로 발걸음을 하게 되었고 나는 자연스럽게 반주를 하게 되었다.

남편은 우리의 목사님을 떠나는 느낌을 시집가는 기분에 비유하였다. 확실한 건 둘 다 결혼하면서 독립할 때보다 더 강한 이별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자연스러운 일에는 하나님의 손길이 있을것임을 인정할수밖에 없으며, 그 ‘때 탄’ 반주경험을 이렇게 높은뜻 교회에서 사용하심에 감사할수밖에 없다.

뿌려진 씨앗이 되어 열매를 맺어, 시집 잘 갔다 칭찬 받는 우리 가정이 되길 바란다.

(2019.2.3. 네이버 블로그 기록물)

하나님의 은혜 (feat. 아둘람 트리오 @높은뜻 파주교회)

  • 아둘람: ‘은신처’, ‘피난처’ 라는 뜻. + 아, 둘남: 아(이)를 둘 났다는 뜻.

남편이 본인 이름만 주보에 올라가는게 싫다며, 세 명의 이름을 가지고 별 희한한 조합을 해보다가 급 내려진 센스로 작명을 했다.

확실히 첼로가 함께 해주니 너무 좋았다.

우리의 리허설 찬양 영상.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