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문

어제는 평소보다 피곤했다.

낮잠도 자고, 집에만 있었는데도. 운동 난이도가 높아서 그랬을까, 날씨가 우중충해서 그랬을까.. 하여간 너무 피곤했다.

토요일부터 감기 증상 없이 열만 가끔씩 오르락 내리락 거리던 아이를 평소보다 일찍 침대에 눕혔다. 하루종일 집에서 뒹굴거려 그런지 아이의 에너지는 아직 방전이 더 필요한 상태였고, 30분이 지나고, 한시간이 지나고..

아이가 빨리 잠들어야 일어나서 뭐라도 하는데 라는 마음이 들기 시작하자 아이의 뒤척임에 짜증이 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시간이 넘어가서 기어이 아이를 울려버렸다.

“엄마가 옆에 있어서 못자는거 같으니까 엄마 나가야겠어! 엄마 나가서 잘테니까 여기서 아빠랑 자! (무논리의 대향현…)”

“으아앙….

엄마. 나도 정말 자려고 노력하는데, 눈이 자꾸 똑 떠져. 정말 노력했어.미안해..”

내가 또 괜히.. ㅠㅠ

추스리고 사과하고 안아주고.

남편이 현 상황의 문제는 방이 너무 더워서였던 것 같다고 진단한 후 방문을 살짝 열어두고 선풍기 바람이 들어오게 했는데, 나의 환절기 알러젠인 ‘찬바람’이 들어와서 코속을 강타하며 짜증2탄을 예고하고 있었다.

“으으…. 문좀 닫아줄래..코에 직바람이 들어와…”라는 나의 부탁은 적절한 온도조절을 위함이라는 목적에 희생되..
는 듯했으나

아이가 데굴데굴 굴러와 작은 손으로 내 코를 덮어주었다.

“엄마. 이러면 괜찮지? 좋은 생각이지?”

아이 손은 따뜻했고, 결국 그렇게 둘이 같이 잠들었다.

어떻게 내 코를 덮어줄 생각을 했을까.

아이의 마음씀이 엄마보다 나았다.

반성문.

(2020.9.7. 페이스북 기록물)

엄마! 피로는 좀 풀렸어??

바쁘게 보낸 토요일 저녁, 아이랑 놀아주지 못하고 피곤피곤해하며 일찌감치 잠들었는데, 일요일 아침 눈을떠보니 아이가 나의 얼굴을 미소지으며 바라보면서

“엄마, 피로는 좀 풀렸어?”

라고 물었다.

처음엔, 무슨 소린가 하고 “응?” 이라고 되물을 정도로 고차원적인 배려가 담긴 질문이었는데, 서우는 나의 되물음이 무안해질정도로 또박또박 말해줬다.

“엄마 어제 많이 피곤해했잖아. 푹 잘 잤어?”

만 47개월.

놀랍고.. 나보다 낫다!

라고 감동하며

“응! 푹 잤지. 물어봐줘서 고마워.” 라고 하는 순간..

“그래? 그럼! 놀자!!”

“그래! 놀자^^!!’

역시..고단수다.

(2020.7.20. 페이스북 기록물)

딸의 공감

퇴근 후 아이랑 하루 종일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조금씩이라도 이야기를 나누려고 한다.

어제는 책을 쓰는 일을 하느라고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고 이야기 했었는데, 오늘은 책 만들어서 가지고 왔냐고 묻는걸 보면 이제 확실히 모든 이야기를 받아들이는구나 싶다. 대충 듣지 않고 진짜로.

오늘은 아이랑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야기하다가,

“엄마가 오늘 너무 바빴어. 환자가 너~~~무 많아서 환자가 들어오면 ‘이름이 뭐에요~’물어보고, 무슨 검사인지 확인하고, 검사하러 갔다가 와서 앉으면 또 환자가 오고, 그럼 또 ‘이름이 뭐에요~’ 물어보고, 무슨 검사인지 확인하고, 검사하러 갔다 오면 앉을 새도 없이 환자가 기다리고.. 하여간 너~~~~~ 무 정신이 없었어. 하도 그래서 무릎이 아퍼,. ‘호~~’해줘” 라고 상황극을 펼쳤다. 그리고 ‘호!’ 한번 짧게 받았다.

그러더니, 갑자기 아이도 상황극을 펼치기 시작했다.

“엄마 나는 친구랑 누웠다가 앉았다가 누웠다가 앉았다가 누웠다가 앉았다가 해서 등이 아팠어! 호~~ 해줘”

웃음이 나면서도, 왠지 딸에게 공감 받고 위로 받는 느낌이더라. 아이 등에 ‘호~~~~’ 길게 해줬다.

(2019.8.22. 페이스북 기록물)

현실세계 적응하기 feat.외로움

이웃 언니나 오빠랑 ‘단 둘’이 있을때는 분명 본인 위주로 재밌게 잘 놀았었는데 (아이 위주로 아주 잘 놀아주었었는데), 그랬던 언니 오빠들과 다같이 함께 모이면 다소 외롭게 되어버리는 아이를 보았다.

외로움은 OO의 마음이었을까 내 마음이었을까.

괜히 신경쓰여 아이 옆에 가서 앉았더니 놀이에 집중하다가 “엄마도 같이 할래?”라고 말을 붙여온다. 언니랑 오빠랑 같이 안놀면 심심하지 않냐고 물었더니 “아니”. 단호박.

진짜 아닌건지, 어린것이 멋적어서 아닌건지.

오랜만에 찾아보니, 아이는 같이 모여 같은 놀이를 하지만 실제로는 따로 노는 ‘병행놀이’를 하는 발달단계를 보내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그나마 다행이다.

어쨌든 아이는 지금 집 밖의 세상이 집과는 엄연히 다르다는 것을 배워가는 중이다.

(2019.08.27. 페이스북 기록물)

아이랑 함께 잠드는 마음

아이를 낳기 전에는 아기침대를 써서 아이를 빨리 스스로 혼자 자게 하고 싶었다. 출산전에 우연히 보게된 ‘똑게육아’라는 책은 엄마 및 부부의 삶을 위한 성경과 같이 읽혀지기도 했다.

그런데 막상 아이를 낳고 나니, 그리고 일을 하다 보니, 아이와 체온을 함께할 시간이 별로 없었다. 그래서 나는 아이와의 동침을 결정했다.

퀸과 슈퍼싱글 침대를 바닥에 나란히 두고, 아이와 나는 슈퍼싱글에서 붙어자고 남편은 퀸침대에서 잔다. 어쩌다 보니 같은 방 동침이긴 하나 각침이다. 확실히 부부만의 시간은 예전만 못하다.

아이는 9시에 잠들고 알람과 같이 6시15분경 일어난다. 아마도 우리 부부의 출근준비시간에 맞춰서 그 인기척에 깨던것이 아이의 리듬이 되어버린것 같다. 수면 부족을 만성화 시킨것 같아 미안하다.

잠들때는 나름의 의식이 반복된다. 업어서 노래를 불러주고, 짐볼에 안고 앉아서 짐볼을 통통 튀기며 ‘꿈나라로 갈까요(우리 집만 아는 꿈나라 가기 구호 같은 것이다)’ 챈트를 읊어주고 잠깐 누었다가 다시 한번 업어주고를 한 20여분 반복하다 누워서 한 1분 뒤척이다 잠든다.

아이가 완전히 잠들길 기다리며 같이 누워 있다보면 나도 잠들기 십상이다. 정신 똑바로 차리고 있어야 육퇴를 하고 나름의 시간을 보내는데, 고요한 가운데 쌕쌕 거리는 숨소리를 듣고 있노라면 꿈나라 가는건 금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커가는 아이의 체온을 놓칠수가 없어서,
아이의 숨결을 느끼고 싶어서,
다 자는 밤에라도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어서,
나의 욕심에 아이를 내 옆에 두고 잔다.

혹여라도 아이가 잠든 후, 정신줄 겨우 부여잡고 일어날수 있으면 그때부턴 진정한 퇴근이다. 피로가 노곤하게 몸에 뭍어있어 금방 다시 아이 곁을 찾게 되긴 하지만, 그래도 그 시간을 얼마나 의미있게 보내느냐가 워킹맘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 한때는 야식에 드라마가, 한때는 독서가, 한때는 운동이 퇴근의 기쁨이었는데 요즘은 다시 야식에 드라마다. 다시 독서와 운동이 되길 바란다.

다시 돌아와 쌔근히 잘 자고 있는 소중한 아이을 감싸안으면 너무나도 행복한 잠자리다. 오늘 하루도 건강하게 하루를 살아내줬음에 감사하며 진정한 잠자리에 든다.

(2019.1.31. 네이버 블로그 기록물)

error: Content is protected !!